광고
광고
광고
로고

‘IT강국 도약의 전제조건’

정연진 | 기사입력 2003/01/22 [13:07]

‘IT강국 도약의 전제조건’

정연진 | 입력 : 2003/01/22 [13:07]
정책자금 규모확대 필요…기술인력 육성대책 시급



지난해 세계 및 국내 경기가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의 수출은 예상외로 호조를 보였다.

한국전자산업진흥회(이하 전자진흥회)(회장 구자홍) 김상근 상근부회장은 “전자부문의 수출이 국내 전체 수출을 리드했다”고 말한다.

“지난해 연말 원화가치가 절상, 채산성이 악화됐지만 우리업계를 이를 슬기롭게 극복했습니다. 전통적으로 원화의 강세는 국산제품의 수출에 걸림돌로 작용했죠. 하지만 우리업체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가격경쟁력은 물론 기술력과 영업력에서도 확고한 위치를 점하면서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했습니다.”

이 같은 성과에 앞서 전자진흥회는 지난해 타단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상을 높이기 위해 전자회관 건립을 추진하는 한편, 사업화자금 지원확대 및 활발한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주력해 업계에 이바지했다.

“기초원자재 무세화 등 업계부담 경감을 위한 대정부 건의에 주력했습니다. 아울러 PL(제조물책임)법 홍보와 분쟁조정센타 설립을 추진하고 부품 역관세 해소에도 공을 들였죠. 요소기술 보유를 위해 정부차원의 국책과제 선정을 통한 자금 및 시설지원을 대행하는 등 의사소통의 원활한 교감을 위해 애썼습니다.”

그는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에 따른 국가 이미지 제고와 그칠 줄 모르는 중국경제의 고도성장에 힘입어 올 수출 전선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의 이미지, 특히 우리 전자업체의 이미지가 세계시장에서 상당히 좋아지고 있어요. 전자산업의 핵심가치는 신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바이어의 만족이 어우러질 때 비로소 참빛을 발휘하게 됩니다. 기업과 바이어의 가치창조를 통합하는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마케팅을 펼쳐야 국내업체들이 글로벌시장에서 크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쓴소리도 잊지 않았다. “전자부품·소재의 개발을 위한 정책자금 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돼야 합니다. IT산업의 발달에 있어서 요체는 원천 기반기술의 개발이기 때문입니다. 또 산업기술 인력의 복리후생 개선 및 현장맞춤형 교육으로 공학교육 개선 등 종합적인 기술인력 대책도 강도 높게 추진돼야 합니다.”

김 상근부회장은 “디지털 혁명의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보통신을 축으로 하는 반도체, 디지털가전, 콘텐츠 등 주력산업을 설정, 이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적극 육성하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며 “경영혁신을 통한 생산성 증대 및 원가절감, 품질의 일류화를 꾀해 비가격 경쟁력의 강화, 고비용 생산구조의 과감한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