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컴 6호기 구축사업 공고 2차례나 유찰 기존사업비로 해외제조사 입찰가 못맞춰 요구성능·조건 대폭 완화…3차공모 진행중
이정문 "당초 대량 AI반도체 탑재 초거대AI 개발목표 수정…비싸지고 성능저하 불가피"
[동아경제신문=이은실 기자] 연구 현장의 거대 계산,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활용 지원을 위해 최대 600PF(페타플롭스) 처리 속도를 가진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 사업이 GPU(그래픽처리장치) 수요 폭등과 환율 상승으로 인해 정상 추진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회 과방위원회 이정문 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천안병)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조달청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슈퍼컴퓨터 6호기 시스템 구축 사업' 3차 공고('23.9.14~10.26)의 요구성능과 조건이 2차 공고('23.7.27~8.8) 때 보다 대폭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당초 슈퍼컴퓨터 6호기의 메인 시스템 중 하나로 도입하기로 계획했던 'GPU Fat 노드' 20대 도입 조건을 '필수 의무사항(Mandatory Requirement)'에서 '희망 요구사항(Desirable Requirement)'으로 바꾸고, 배점도 최소 20대를 도입해야 기본점수(1.6점)을 받는 것에서(70대 이상 도입시 최대 점수 2점), 1대만 도입해도 기본점수를 받는 조건(20대 도입시 최대점수 2점) 으로 대폭 완화되었다.
이외에도 ▴슈퍼컴퓨터 6호기 운영 최적화를 위해 사전 도입하는 '파일럿 시스템'의 스토리지 용량ㆍ노드수 조건을 메인시스템의 1%에서 0.5%로 절반 수준으로 낮추었고, ▴인건비 절감을 위해 기술지원 전담 인력 최소 인원 조건도 완화했다.
정부는 기존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실측성능 13.9PF)'의 평균 시스템 사용률이 77%*, 최대 90%에 달해 과부하 상태라고 판단하고 이를 대체할 새로운 슈퍼컴퓨터 도입을 추진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국가 플래그십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고도화 사업'이 총 사업비 2929억원 규모로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였고('22.8월) '23년부터 사업이 추진 중이다.
그런데 올해 초 챗GPT 열풍이 불면서 생성형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AI반도체와 GPU 가격이 급등하였고, 기존 사업비로는 해외 제조사들이 원하는 입찰 가격을 맞추지 못해 지난 5월과 7월, 2차례 공고가 유찰되었다.
이에 슈퍼컴퓨터 6호기 도입 주관 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신속한 도입을 위해 예타 규격 내에서 조건을 최소로 완화하여 재공고를 추진한다고 밝혔고, 현재 3차 공모가 진행 중이다.
그런데 막상 완화된 공모 조건을 확인하니 600PF급 연산 능력만 유지 되고 ▴AI 모델 학습을 위한 연산 장치, ▴메인시스템 사전 최적화을 위한 파일럿 시스템 성능, ▴시스템 유지ㆍ보수를 위한 전담 인력 등 슈퍼 컴퓨터 운영의 부가적인 영역 상당 부분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정문 의원은 "당초 슈퍼컴퓨터 6호기는 생성형 AI 모델 학습을 요구한 학계 의견을 수용해 대량의 AI 반도체를 탑재하여 초거대 AI 개발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려고 했지만 목표 수정이 불가피해졌다"며 "심지어 공모 가격은 동일한 1억 4000만 달러인데 최근 환율 상승으로 인해 원화 도입 가격이 100억원 가량 올랐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결국 성능이 더 떨어지는 슈퍼컴퓨터를 더 비싼 가격에 들여와야 하는 상황인 것"이라며 "과기부와 KISTI는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하여 슈퍼 컴퓨터 6호기 도입 취지를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동아경제신문 & dae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