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감염병 발생주기 갈수록 짧아진다
국회서 의료대응 체계 강화 토론회

병상자원관리 체계 구축·의료인력 운영 방안 등 제언
신종감염병 발생주기가 단축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미래감염병 대비 의료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7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미래 감염병 대비 의료대응 체계 강화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국가 차원에서 병상 자원, 의료인력 관리와 운용, 감염병 대응체계를 더욱 짜임새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국민의힘 최연숙 국회의원은 "많은 전문가들은 신종 감염병의 발생 주기가 더욱 단축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면서 "감염병 대응체계가 더욱 짜임새 있게 작동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분석과 대안 마련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신종감염병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등 감염병 분야의 중요한 계획들을 현재 수립 중"이라며 "감염병 방역 대응의 컨토롤타워로서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한 일상 회복과 미래감염병 위기 대비.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의료현장의 전문가들과 적극 소통할 것"이라고 말했다.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와 국립중앙의료원 감염병병원운영센터 김연재 센터장이 각각 '감염병 위기대응 병상자원관리체계 구축 및 의료인력 운용 방안', '신종감염병 의료대응 체계 강화'를 주제로 발제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건강보험연구센터 신영석 명예 선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았으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방지환 감염내과 교수·한림대병원 강남성심병원 이재갑 감염내과 교수·보건복지부 박향 공공보건정책관·질병관리청 임숙영 감염병위기대응국장·서울아산병원 김성한 감염내과 교수·건양대학교 정선영 간호학과 교수가 토론에 참여했다.
한편, 미래 감염병 대비 의료대응 체계 강화 토론회는 국민의힘 최연숙 의원의 주최로 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