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시효 다했다…"창의력·사고력 측정 불가"
국회 토론서 '학교교육 훼손 주범' 지적

"변별만 남고 교육적 기능 상실…부작용만 양산"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변별을 위한 기능만 남고 교육적 기능은 상실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16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의실에서 '수능은 어떻게 학교교육을 망가뜨리는가?'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우리 교육 현실을 강하게 옥죄는 평가 체계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국회의원은 "수능을 처음 만들고 시행한 박도순 초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장도 수능의 시효가 다했다고 자인한다"라며 "고등교육 이수에 필수적인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력 등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 그런 평가 점수 몇 점으로 능력의 차이, 입학 대학의 차이를 가르는 것도 맞지 않다"라고 말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지현·홍민정 공동 대표는 "일각에서는 철저히 변별을 위한 기능만 남고 교육적 기능은 상실했다고 일침을 가한다"라며 "오지선다형 정답 맞추기 시험이 미래 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온당하냐는 근본적인 질문까지 나온다. 현재 수능은 온갖 부작용을 양산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배재고등학교 장지환 교사와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수학교육혁신센터 최수일 센터장이 각각 '지속불가능한 수능,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 '불수능과 킬러문항, 어디까지 왔고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주제로 발제했다.
토론에는 하늘고등학교 김원석 교사, 덕성여자고등학교 이봉수 교사, 포카칩N제 문호진 저자, 이현우 대학생이 참여했다.
한편, '수능은 어떻게 학교교육을 망가뜨리는가?'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강민정 의원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공동 주최했다.